파워컬러 rx570 4기가 짜리 그래픽카드가 있었습니다

DVI 1개 달린 것...

디앤디컴이 유통을 했고   A/S는 cs이노베이션을 통해서 진행합니다...

as갑 3대장 -이엠텍 조텍 갤럭시  만 기억하고 있었는데..

cs이노베이션 A/S가 완전 안좋다... 그나마 최근엔 조금 좋아져서 긍정적인 후기들이 올라 온다 라는 걸 알고는 있었습니다만... 잊고 지내다가..

어라.. 내 그래픽카드가 여기꺼였네 ㅡ,ㅡ;;

서울권이 아닌지라 지방 센터를 찾았습니다..  각 도시별 몇개 있습니다..

단 직영? 직속? 이 아닙니다..

제이씨현에서 대행을 합니다...

제가 간 곳은 광주점...   금호월드 5층에 있습니다... 광천터미널 유스퀘어 뒤쪽에 있습니다..

금호월드 처음 가봤는데.. 용산의 용던을 떠올리게 하는..ㄷㄷㄷㄷ

여기는 2,4,5주 월요일 쉽니다.. 일요일도 쉬구요..

물론 바로 용산으로 택배 A/S를 받을 수 있었지만.. 소문에 안좋다 해서..

그나마 센터를 중간에 거치면 조금이나마 나아지지 않을까 해서... 간거였습니다..

접수.... 선거일과 휴일이 있어서.. 접수한지 한 일주일 걸렸습니다..

중간에 판정도 받고요..

결론은 출력포트 이상으로 무상수리기간내이지만 나사에 붙여져 있던 워런티 택이 뜯어져서 수리 불가..

써멀구리스 도포를 하기위해 나사를 풀었었는데.. 나사 중 하나에 워런티 보장 택이 하나 붙어져있었고..

그게 손상되어서 수리 불가..;; 아놔!!!!!!!!!!!!!!!!!!!!!!!!!!!!!!

분명 예전에 여러 글들 읽으면서 어떤 업체는 써멀구리스 바를려고 분해해도 수리 가능 어떤곳은 불가..

많이 읽었었는데.. 잊고 지냈습니다.ㅠㅠ

그래서 유통사 및 제조사 별 as규정  정리해놓은거 찾아봤습니다.  

갤럭시- GALAXY임.. 임의분해로 제품 불량 발생 외관 손상이 불가 그러나 분해만으로 워런티 소멸되는건 아님

디앤디컴/CS이노베이션 -게인워드 파워컬러 애즈락  기가바이트->임의 분해시 불가

 

아이노비아 -이노3D inno3d-> 분해시 보증기간 무효가 원칙 그러나 파손없고 기존제품 그대로 원복시 서비스 진행 가능..

 

이엠텍-emtek asus evga -> 사파이어 는 가능 그외는 1차 이엠텍 확인 2차 제조사 확인

 

웨이코스-컬러풀 만리 xfx등등->분해시 무상보증 불가

 

조텍 -워런티씰 훼손시 불가 그러나 파손 손상의 부분 없으면 가능

 

STcom-아수스(에이수스),펠릿 알파 그래픽 유통 ->잔여보증기간 사라지지 않음/불량확인후 RMA진행 , 시간 오래걸림

 

 

이 원칙이지만... 상황이 바뀔수 있음..

 

Q.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로 등록되어있어서 출력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처음부터 저의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는것이 아닌 부양자의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해서 출력해야 한다는 것인가요?

A.직장가입자의 경우 피부양자가 발급이 불가능하며 부양자의 공인인증서로 발급하거나 부양자가 팩스로 발급해야합니다.

 

Q.안녕하세요. 현재 구직활동지원금을 정부로부터 수급받고있는 취준생입니다. 전라남도에서 별개로 지급하는 청년취업수당에 지원하고싶은데요. 혹시 구직활동지원금을 받고있는 사람은 대상에서 제외되는 건가요?

A.구직활동지원금은 중복사업으로 동시참여는 불가능합니다.

 

Q.구직활동지원금 신청 할때 꼼꼼하게 확인한다고 했는데도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니 최종학력을 잘못 체크했네요. 수정은 어떻게 하나요?

A.반려가 되면 수정이 가능합니다. 순차적으로 확인 후 반려처리해드리겠습니다.

 

Q.안녕하세요! 1. 저희 가족이 부모님, 저, 동생1, 동생2 이렇게 다섯명인데 가구원수를 4명으로 해도 무방한건가요? 아까 담당자분이 친절하게 설명해주셔서 ... 통화를 하긴 했는데 다시 한 번 확인해보구 정확히 신청하는게 맞을 것 같아서 다시 여쭤봐요! 형제 자매를 선택할 수 있다고 돼있는게 동생1,2를 같이 아예 빼거나 아님 아예 포함시켜야되는건지 그게 아니면 한명한명을 골라서 선택할 수 있다는 건지, 명확히 다시 확인받구싶어서 글올렸어요~~ 만약 형제자매를 따로 선택 가능해서 5명 중 한명제외 4명으로만 선택시, 건강보험료 자격확인서 및 납부확인서도 4인 기준으로만 떼서 올리면 된다는건가요? 2. 서명해서 제출해야되눈 개인정보 수집 제공 활용 동의서에 가구원수를 한명을 뺀 4인만 하면 4인만 적고 4인의 동의만 받으면 되는건가요? 3. 제가 작년부터 면역력 저하로 얼굴껍질이 벗겨져서 가만히 있어도 따갑고 아픈 알레르기 지루성 피부염을 앓고있는데요. 아무래도 눈에 보이는 얼굴이다보니, 혹 면접볼 때나 구직활동시에 지장이 있을까봐 발병됐을때부터 지금까지 쭉 피부과에 다니고 있는 중이거든요... 알레르기성이라 약도 매일매일 복용해야돼서요. 정말 단순한 미용 목적이 아니라 저는 정말 취직을 함에 있어서 옷으로 가릴 수도 없는 보여지는 부분이다보니 혹여나 지장을 받지 않을까 싶은 초조함과 절박함인... 치료 목적이거든요.. 혹 병원비, 약조제비에도 이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해요ㅠ.ㅠ 부모님께 매일 병원비를 받아서 다니고 있는데 조금이라도 부담을 덜어두릴 수 있을 것 같아서 감사하게도 혹 된다면 구직활동신청계획서에있는 사용예정내역부분에 이런 상황이라 병원비에 사용하고 싶다고 미리 쓰고 싶어서요.

A.형제자매가 2명이상일 경우 가구원 수에 포함하고 싶은 인원만큼 추가가 가능합니다. 만일 4인으로 신청 시 건강보험료 관련 서류도 4인 기준으로 발급한 후 첨부하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동의서 또한 해당 가구원은 모두 자필서명 후 동의를 받으셔합니다. 구직할동과 연관성이 있는 병원비는 사용이 가능하나 구직활동계획서에 반영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 지원금 사용처 및 구직활동 연관성 판단기준에 해당이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구직활동계획서를 신중하게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Q.여수시청 홈페이지에 고시공고 보고 문의드립니다. 여수시 거주자 140명에게 청년구직활동수당을 지원한다는 공고를 봤습니다. 그런데 2019년 전라남도 청년구직활동수당에 참여했었습니다. 전라남도 청년구직활동수당은 생애 1번만 참여 할 수 있는 자격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수시 거주자 140명 청년구직활수당 지원은 혹시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중위소득 150%에는 신청 자격이 되긴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A.시군별로 인원이 배정되어있으나 전남 청년 구직활동수당 지원사업이므로 생에 1번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Q.건강보험 자격확인서와 납부확인서는 본인것 이외에도 가족 구성원 모두의 것을 발급받아서 같이 제출해야 하나요?

A.가족 구성원을 모두 가구원으로 산정하셨다면 건강보험 자격확인서는 해당 가구원이 모두 확인되도록 발급받으시고,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는 부양자의 것만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Q.개인정보 동의서 본인 외 누구까지 기입해야 하는지 여쭙니다. 한부모 가정이라 등본상 어머니와 둘만 등록되어있지만, 가족관계증명서에는 아버지 어머니 모두 기재되어있어서요. 어머니 직장보험에 피부양자로 되어있어 어머님만 기재하면 되는건가요?

A.한부모 가정이며 가구원을 어머니와 신청인 2인으로 하실 경우, 본인기준으로 발급받을 시 가족관계증명서 상에 아버지가 확인되면 아버지 또한 가구원으로 산정해야하므로 가족관계증명서를 어머니 기준으로 발급받으셔야합니다. 또한 개인정보 동의서에 어머니의 자필서명도 필요합니다. 관리자가 반려 시 수정이 가능한데, 현재 이미 신청하신걸로 확인되었으나 신청순서대로 확인중이므로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

 

Q.이번에는 지원자격이 안 돼서 청년 구직수당 지원을 못하는데 이번년에는 5/9일까지만 모집한다면 올해 2차지원모집은 없는거나 마찬가지인가요??만약 모집인원이 모자라서 2차를 한다면 언제쯤 하게되나요??

A.이번 모집 마감일은 5/6이며 2차 모집이 진행된다면 6월에 공고 예정입니다

 

Q.건강보험료 넣는 칸에 모든 가구원의 공고일 전월분 건강보험료 합산금액 기재 이렇게 되어있는데 부모님것까지 포함해서 이해가 되는데.. 부모님것도 포함해야 하나요??

A.미혼자는 부모님 기혼자는 배우자까지 건강보험료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Q.다름이아니라 제출해야되는 고용보험이력서를 근로복지공단 고객센터를 통해서 Fax로 받았는데, 파일로 바로 저장되더라구요. 파일이니까 이 파일을 신청시에 그대로 올려도 되는지, 아님 인쇄 후 스캔을 해서 새롭게 파일을 생성한 후 올려야되는지 궁금합니다.

A.확인 과정에서 생년월일 등의 개인정보가 필요하오니 인쇄후 스캔하여 첨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Q.안녕하세요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내역서 별도의 기간 안내가 없어서요 기간은 어떻게 입력해야 되나요? 혹시 서류 제출하고 미비한 부분이 있으면 연락이 오나요? 구직활동 계획서는 자필로 작성해도 되나요

A.고용보험 이력내역서는 평가와도 관계가 있는 부분이니 최소 5년 이상의 이력을 확인할 수 있게 발급 받아야 합니다. 다만 신청서 작성시 최근 상실일이 최종학력 졸업수료제적 일보다 오래된 경우 최종학려 졸업 수료 제적일로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미비한 서류는 담당자가 확인 후 보완 요청 합니다. 구직활동 계획서는 자필로도 작성 가능합니다

 

Q.고용보험자격이력내역서(상용이력) 1부 가 필수제출이라고 되어있는데요 고용보험에 한번도 가입하지 않은 사람은 조회내역이 없어서 뽑을 수가 없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또, 각각의 증명서에 본인 외에 가족도 주민등록번호가 전체 나와야하나요? 초본같은 경우는 4장이 나오는데 압축해서 첨부하나요?

A.고용보험에 한번도 가입하지 않은 경우에도 출력이 가능합니다. 초본이 여러장일 경우 추가버튼을 누르면 첨부서류를 넣을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초본과 주민등록등본에는 주민등록번호가 모두 나와야합니다.

 

Q.저희 5인 가족인데 오빠가 현재 주소이전을 해서 따로 건강보험료를 내고 있는데 오빠 것도 같이 건강보험료 납입확인서를 재출해야하나요? 내야한다면 납입확인서만 내면 되나요? 아님 따로 제출해야할 서류가 있나요? 오빠것은 안내도 되면 제껏만 제출하면 되나요?

A.기본 3인(신청자+부모님)이며 형제자매를 추가하고자 하시는 경우, 형제자매가 건강보험료를 납부하고 계시다면 형제자매의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를 추가로 첨부하여야합니다.

 

Q.전남 구직활동 지원금을 신청 후, 1) 같은 전라도 내에서 지역을 이동( 등본상 주소가 변경) 된다면 지원이 탈락 되나요? 2) 다른 지역 (전라도 이외의 예-강원도- 등)으로 지역을 이동 (등본상 주소가 변경) 된다면 어떻게 되는지요? 만약 선정이 되어서 매달 지원금을 받는 도중 주소가 이전 되면요? 그리고 구직활동 지원금 수령해서 월 50만원씩 도움을 받고 있다가, 생계자금 부족 등의 이유로 아르바이트를 하게 되어도 취업으로 간주 되서 지원금 중단 되는지 걱정입니다. 지원금 수령 중, 취업(알바)의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주급 또는 일급 금액과 몇시간 일했을 경우 해당되는지 알려주세요.

A.신청 후 전라남도 내에서 주소지 이전은 가능하며, 전라남도 내 주소지 이전 후에도 접수기간이 끝나지 않았을 경우 청년구직활동수당지원팀으로 연락 후 주민등록초본 수정이 필요합니다. 전라남도 외 지역으로 주소지를 이전할 경우 지원금을 받는 도중이라도 전남 청년 구직활동수당 지원자격이 박탈됩니다. 취업의 기준은 주 36시간 이상 일을 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주 36시간 미만의 경우 근로게약서를 제출하셔야만 지원자격이 유지됩니다.

 

Q.안녕하세요. 청년 구직활동지원금 서류를 작성하다 몇가지 문의가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개인정보동의서에 본인만 동의 후 사인하면 되는건지, 가족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구소득인정액 산출시 구성원 모두 기재의 기준이 모호하여 문의드립니다. 2) 전남 코로나 지원금관련해서 부모님이 신청하긴 하셨다고 하는데 확정여부는 확인되지않았습니다. 이경우 별다른 액션없이 진행해도 되는 건지 문의드립니다 (코로나 지원금 받게되면 개별만큼 빼고 지원된다는 내용은 확인하였습니다. 신청당시 다른 무언가를 해야하는지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

A. 1. 포함된 가구원은 모두 자필서명이 필요합니다. 가구원 산정 관련 문의는 건강보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문의는 전화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2. 전남형 코로나19 긴급생활비를 신청하여 지원이 확정되신다면 전남 청년구직활동수당은 차감하고 지급될 예정입니다. 필수서류인 등본을 반드시 제출해주시기 바랍니다.

Q.2020년 구직활동지원금 지원하려고 합니다 작년 공고를 살펴보니 거주지점수가 있어 문의드립니다. 만약 올해도 기준이 같다면 제가 전남에서 대학가기 전까지 살다가 대학졸업 이후에 다시 전남으로 전입신고한 기간부터 들어가게 되는건가요? 한가지 더 문의드립니다 지원금을 받는 중간에 광주지역으로 취업준비를 하기 위해 이동한다면 (전입신고는 하지 않는 일시적인) 중단이 되는건지 문의드립니다.

A.최종 전남으로 전입신고한 일자부터 전라남도 거주기간으로 산정됩니다. 지원금을 받는 도중 전남 이외의 지역으로 전입신고를 하지 않고 주소지를 유지하시는 경우 지원자격도 유지됩니다.

 

Q.순천 폴리텍 지원해서 1년 자격증 과정 수강중입니다. 실업급여는 아직 신청하지 않은 상태이구요, (전에 다니던 직장에서 고용보험이 누락되어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 확인 신청 진행중입니다) 폴리텍 다니는 사람도 신청이되는지, 신청후 향후 실업급여 수급을 하게 되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A.폴리텍은 대학교로 현재 1년 자격증 과정 수강중이시라면 재학중으로 판단되어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아울러 실업급여와 청년 구직활동수당을 동시에 지원 받는것은 불가합니다.

 

Q.안녕하세요. 이번에 진행되는 청년구직활동수당에 관하여 질문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번 1회차의 경우 30만원 가량을 지역화폐로 지급한다고 되어있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1. 지역화폐의 경우 카드 형태로 지급이 되는지 아니면 상품권처럼 종이화폐로 지급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카드 형태이면 가맹점에 가서 결제하면 자동으로 지역화폐에서 차감이 되나요? 2. 지역화폐의 경우 해당 지역에서만 사용가능한 지 아니면 전남권 지역 어디서든 사용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3. 만약 해당 지역에서만 사용가능한 경우 본인 거주지 기준으로 지역화폐를 지급받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여쭤보고 싶은 것이 많아 글 남겼습니다. 감사합니다!

A.지역화폐는 참가자 주소지의 시군에서만 사용 가능한 지역화폐로 1회차 지원금(지역화폐 30만원 + 현금 20만원)으로지급되며, 각 시군 운영방법에 따라 지류, 카드, 모바일 등으로 지급 예정입니다.(2회차 ~ 6회차는 현금 50만원 지급) 카드는 선불카드 형태로 지급되며 모바일은 제로페이와 비슷한 형태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Q1.전남형코로나19 동시참여 제한, 조건부참여 가능- 개인별지급액으로환산하여가능 이라고 되어있는데. “동시참여 제한”이라는말이 무슨말인지 궁금합니다. 이번주에 구직활동수당 참여하려고 하는데, 그렇다면 전남코로나19에 참여를 못한다는말인지 궁금합니다 2. 이번 구직활동지원금 지급기간과 지급액을 알고싶습니다.

A.전남 청년 구직활동수당은 월 50만원 최대 6개월(1인 최대 300백만원) 지원됩니다. 전남형 코로나19 긴급생활비 수혜자의 경우 가구원에 따라 지급되는 생활비(1~2인 가구 30만원, 3~4인 가구 40만원, 5인 가구 이상 50만원)에서 개인별 지급액(1인 가구 30만원, 2인 가구 15만원, 3인 가구 13만원, 4인 가구 이상 10만원)을 차감하고 지원합니다.

 

Q.제출서류 인쇄 후 스캔에 대해 궁금하여 문의드렸습니다. 모바일 팩스나 캠스캐너 어플을 이용해서 첨부하는 것은 불가능 한가요?

 

A.모바일 팩스 및 스캔 어플 등을 이용 첨부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Q.건강보험 자격확인서 관련 문의드립니다. - 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자격확인서를 발급할 때 가족관계증명서에 등재된 목록(부친, 모친, 본인, 형제)과 달리 부친과 저, 둘만 조회 되는데 이렇게만 발급 받아 제출해도 되는지 아니면 가족 명의로 일일이 인증해서 여러 부를 발급해서 제출해야하는지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는 부친의 직장피부양자로 가입되어있어 출력이 불가한데 이것도 부친 명의로 인증해서 제출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A.기본 3인(본인, 부, 모)로 진행되나 형제·자매를 가구원으로 추가하고 싶으신 경우, 어머님이 직장에 다니고 계신다면 어머님의 건강보험료 관련 서류를 따로 발급해야하며 형제·자매분이 건강보험 피부양자라면 자격확인서가 추가로 필요합니다.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는 직장의경우 부양자가 발급하셔야합니다.

 

Q1. 가구소득인정액_건강보험료 어디서 조회하고 입력합니까? 2. 현재 직장피부양자로 되어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고 있습니다. 증명서 발급신청에 보험료확인서 발급이 안됩니다. 어찌하나요? 3. 개인정보수집제공활용 동의서는 공지사항 서식 몇번에 있습니까? 찾아보니 안보입니다.

A.건강보험 관련 서류는 정부24시 혹은 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직장피부양자인 경우 부양자가 납부확인서를 발급하셔야합니다. 개인정보 동의서는 공지사항 혹은 공고문 내에 있으므로 다운로드 받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Q.작년 1회차에 참여했던 사람은 이번년도에 참여할수없나요??

A.전남 청년 구직활동수당은 생에 1번만 참여가 가능합니다.

 

Q.아버지가 세대주로서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이시구요 전업주부이신 어머니와 제가 세대원으로 있습니다(납부자 번호 같습니다) 이런 경우, 공고일 전월분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는 보험료를 내시는 아버지 이름으로 1통만 발급받아 첨부하면 되는 것인가요? 아니면 납부번호가 같더라도 부,모, 본인 각각 1통을 발급받아 첨부 하는 것인가요? 한가지 더 문의드릴게 있는데 건강보험료 자격확인서를 온라인으로 프린트하니 주민번호 뒷자리는 *로 표시되어 나오는데 이대로 첨부하여도 되나요?

A.납부확인서는 부 기준으로 1부만 발급 후 첨부하시면 됩니다. 건강보험료 자격확인서 상의 주민번호 뒷자리는 *로 표시되어도 상관없습니다.

 

Q.안녕하세요 주민등록등본 상 세대원수가 저를 포함하여 부,모,동생,외삼촌 이렇게 5인으로 나와있는데요 저와 같은 경우에는 신청할 때 가구소득산정 시 가구원수를 5인으로 할 수 있나요? 그리고 건강보험료 확인은 부양자인 아버지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여 확인할 수 있었는데 아버지 건강보험료를 출력해서 첨부하면 되나요? 다른 가족들의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해봤는데 아버지 건강보험료만 조회가 되어서요 감사합니다 +건강보험료 확인 화면이 캡쳐가 되지 않아서 글로 남겨요 세대원수 : 5명 고지년월 : 2020년 3월분 계 : 235,510 지역 : 0 직장 : 235,510

A.일단 가구원 수는 미혼인 경우 부모님, 본인, 형제 및 자매까지만 인정되며, 기혼인 경우 배우자 및 자녀 주민등록등본상 세대를 같이 하고 있는 경우에 한해 양가의 부모님까지만 가구원으로 포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삼촌을 제외한 4인가구로 신청을 하셔야하며, 건강보험료는 2020년 3월분 자기부담금(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제외)이 235,510원이면 그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Q.일자리지원금 신청완료했는데 혹시 미비서류 등 수정해야 될 부분은 따로 연락을 주시나요? 만약 다 충족됐다면 확인 및 합격됐다는건 개별, 순차적으로 연락이 오는건지요. 아니면 5월까지 기다려야 하나요? 감사합니다.

A.5/6일 까지 신청서 접수 후 평가를 거쳐 선정자 발표는 5/11, 예비교육 이수후 최종 선정자발표 5/20, 첫 지원금은 5/25 지급될 예정입니다(일정은 추진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Q.보험료납부 확인서를 출력하려는 도중에 직장피부양자로 되어있어서 출력할 수 없는 경우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A.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로 등록된 경우 부양자 공인인증서 또는 개인정보 등이 있어야만 발급이 가능합니다

 

Q1. 신청게시판의 신청자격정보란을 보면 생계급여 등 수급여부 유/무가 있던데 이 부분에선 코로나 긴급 생활비나 중앙부처에서 실시한 구직활동지원금을 받은 사항이 있으면 체크해야하나요? 아니면 생계급여만 체크사항에 해당되는 건가요? 2. 중복 수급여부에서도 고용노동부에서 실시한 구직활동지원금을 받은 적이 있다면 체크하는게 맞나요? 3. 건강보험료 전월분에 대한 납부 금액을 기재하는 칸이 있는데 3월분인지 4월분인지 궁금합니다 4. (중앙부처 유사사업) 고용노동부에서 실시한 구직활동지원금을 2월까지 수급받고 종료했다면 2개월이 지난 지금 시점에서는 신청자격에 해당하나요?ㅠㅠ

A1. 전남형 코로나 19 관련 관련 긴급생계비는 제외 대상이 아니라 지원 받은 금액을 차감하고 지급합니다. 2. 고용노동부 운영 청년 구직활동지원금은 지원 중료 또는 중단일로부터 2개월 경과하면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서 작성시에는 신청서 작성시 지원받고 있는 여부를 고려하여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3. 건강보험료는 공고일 전월분 즉 2020년 3월분 건강보험료(장기요양보험료 제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Q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를 5년이상으로 설정해야하나요 아니면 2020년 3월분인 전월일로 설정해서 제출하면되나요?

 

A.공고일 전월분 즉 2020년 3월분만 확인할 수 있게 발급 받으시면 됩니다

 

Q.현재 아르바이트 중이여서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는데, 이 같은 경우에는 신청이 어려운지 궁금합니다.

A.현재 아르바이트 또는 근로중이더라도 근로계약서 등을 통해 주 근로시간이 36시간 미만임을 증명하시면 전남 청년 구직활동수당은 신청 가능합니다

전남 청년 구직활동수당 지원 사업 참여자 모집 공고

1. 사업개요

지원대상 : 신청일 기준 거주 18~34졸업·수료·중퇴(학력무관) 2년경과 가구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150%미만으로 구직활동 의지가 있는 미취업 청년

 

지원내용 : 구직활동비 월 50만원 × 6개월(1인당 최대 300만원)

- 최대지원금의 10%(30만원) 1회차 지원금 지급시 전남지역화폐로 지급

- 상담, 컨설팅, ·창업 특강 등 다양한 취업 서비스 병행 지원

* , 전남형 코로나19 긴급생활비 지원가구 해당시 개인별 지급액으로 환산하여 차감 지급

 

지원방법 : 체크카드 발급·사용(클린카드, 현금화 불가), 지역화폐

- (1회차) 체크카드 발급 및 구직활동계획서에 의거 지원금 지급

- (2~6회차) 구직활동보고서 및 취·창업 여부, 주소지 등 확인 후 지급

 

모집인원 : 전남권 1천명  각 지자체마다 다름

* 지원규모가 한정되어 모집 상황에 따라 조기 마감 될 수도 있음.

 

신청기간 : ‘20. 4. 14.() ~ 5. 6.() 18:00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전라남도일자리통합정보망 http://job.jeonnam.go.kr)

선정방법 : 정량평가(가구소득 40, 미취업 기간 40, 거주기간 20)

* 선발 후 예비교육(온라인) 이수, 체크카드 발급하여야 지원 가능함.

2. 신청자격

* 아래 요건을 모두 충촉해야 함.

신청일 기준 여수시 거주 (주민등록상 주소지 확인)

18세 이상 34세 이하 (1985. 4. 14. ~ 2002. 4. 13. 출생자)

* , 병역기간은 나이 산정에서 제외(최대 만5) 최대 만 39세까지 참여 가능

최종학교 졸업·수료·제적 후 2년 경과 (학력 무관)

- , 원격대학(방송대학통신대학방송통신대학) 및 학점인정제는 재학 중이어도 그 이전 학력으로 요건을 충족했을 경우 지원 가능

* 검정고시 합격자는 합격일 기준으로 판단

가구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150% 미만 (건강보험료 납부액 기준)

- 20203월 건강보험료 고지액 또는 납부액이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중위소득 150%의 건강보험료 부담금 미만이어야 함.

* 소득 확인 범위 및 가구원 수 기준(붙임 2 참조)

 

 

<지원제외 대상>

 

 

 

· 생계급여 및 실업급여 수급자(공고일 기준)

· 36시간 이상 근로자 및 사업자 등록이 되어 있는 자(공고일 기준)

· 2019년 전남 청년 구직활동수당 참가자

· 청년 구직활동수당과 유사한 중앙부처 및 타 지자체 지원사업 참여자

, 지원 종료·중단일로부터 2개월 경과시 지원 가능

· 취업성공패키지 및 재정지원 직접 일자리 사업(36시간 이상) 등 참여자

일부사업의 경우 조건부 지원 가능(붙임 3 참조)

 

3. 신청방법 및 절차

 

전라남도일자리통합정보망(job.jeonnam.go.kr) 홈페이지 접속 후 회원가입(, 모바일 모두 가능)

상단의 일자리지원메뉴 클릭 후, “청년구직활동지원사업 선택

온라인 신청서 작성 및 구직활동계획서 등 제출서류 첨부 후 신청

4. 제출서류(필수서류)

* 최종학력증명서 제외 모든 서류는 공고일 이후 발급분만 인정

주민등록등본 1

- 세대원 모두의 주민등록번호 포함하여 발급

주민등록초본 1

- 주소 및 전입일 변동이력 최소 5년이상 확인 가능토록 발급(병적사항은 필요시)

가족관계증명서 1

- 결혼여부, 부모 생존여부 등에 따라 발급방법 달라짐. (붙임 4 참조)

최종학교 졸업·수료·제적증명서 1

- 가장 마지막으로 입학한 학교를 최종학교로 간주함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1<붙임 2 참조>

- 가구원에 포함된 모두의 건강보험 자격이 확인될 수 있도록 발급·첨부

공고일 전월 분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1<붙임 2 참조>

- 가구원에 포함된 구성원 중 보험료를 납부 하고 있는 모두의 납부확인서 발급·첨부

- 건강보험료 미납으로 납부확인서가 발급되지 않을 시, 납부고지서 제출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용)이력내역서 1

- 이력이 없는 경우도 내역서 첨부. 반드시 인적사항과 발급일자가 표시되어야 함

- 36시간 미만 근로자의 경우 근로계약서(근로시간 명시) 추가 제출

사실증명(사업자등록 사실여부) 1

- 사실이 없는 경우도 증명서 첨부. 반드시 인적사항과 발급일자가 표시되어야 함

구직활동계획서 1 <별지 서식 1>

- 구직활동 이행여부, 지원금 사용 가능항목 판단시 활용하므로 신중하게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수집·제공·활용 동의서 1 <별지 서식 2>

- 가구원에 포함된 구성원 모두의 동의(자필서명)가 필요하며 미동의시 지원 불가

 

<제출서류 관련 유의사항>

 

 

 

· 반드시 원본 인쇄 후, 스캔하여 제출(화면등을 캡처한 파일은 인정되지 않음)

· 가구소득 산정 관련하여 형제·자매등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 붙임 2을 참조하여 건강보험자격확인서 및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을 추가 제출

· 구비자료로 가구소득 산정이 어려울 경우 별도의 자료를 요구 할 수도 있음

4. 선정기준

정량평가

- 제출서류 통한 자격요건 확인 및 평가 진행

항 목

평 가 방 법

가구소득

(40)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에 의한 기준중위소득 150% 판정기준 대비 공고일 기준 전월분 가구 구성원의 건강보험료 합산 금액 비교

미취업

기간

(40)

- 최근 고용보험 상실일 부터 공고일 전일까지 기간

- 고용보험 가입이력 없는 경우, 최종학력 졸업·수료·중퇴일 부터 인정

고용보험 상실일과 최종학력 졸업·수료·중퇴일 중 최근일 기준 평가

거주기간

(20)

- 전라남도 최종 전입일 부터 공고일 전일까지 기간

출생이후 현재까지 연속 거주인 경우 출생일부터 인정

- 배 점 표

가구

소득

60%

이하

70%

이하

80%

이하

90%

이하

100%

이하

110%

이하

120%

이하

130%

이하

140%

이하

150%

미만

점수

40

36

32

28

24

20

16

12

8

4

미취업

기 간

5

이상

4.5

이상

4

이상

3.5

이상

3

이상

2.5

이상

2

이상

1.5

이상

1

이상

1

미만

점수

40

36

32

28

24

20

16

12

8

4

거주

기간

5

이상

4.5

이상

4

이상

3.5

이상

3

이상

2.5

이상

2

이상

1.5

이상

1

이상

1

미만

점수

20

18

16

14

12

10

8

6

4

2

 

 

 

 

 

최종선정 : 정량평가 고득점 순으로 선발후 예비교육 이수자 선정

- 동점자는 가구소득, 미취업기간, 거주기간 순으로 고득점자 선발

- 합격자 통보 후, 예비교육 이수 및 체크카드 발급자 최종 선정

 

- 문자메세지, 이메일, 홈페이지를 통해 선정결과 안내

예비교육 * 추후 별도 공지

- 기간 : ’20. 5. 11. ~ 14. 예정

- 방법 : 전남일자리통합정보망 활용 온라인교육 진행(서약서 및 이수확인서 제출)

- 내용 : 지원금 사용법, 보고서 작성법, 카드 발급·사용 사항 등 안내

* 예비교육 미 이수시, 최종선정에서 제외하고 차순위 지원

5. 기타 유의사항

사업은 온라인 신청 및 접수를 원칙으로 하며, 기재사항 착오·누락, 허위 기재, 연락불능으로 인해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정확히 기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지원대상자로 선정된 후에도 신청제외 대상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지원중단 및 환수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구직활동보고서를 제출 하지 않을 경우 지원 중단 및 선정취소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리 결제를 통한 현금화 및 선정자 외 사용과 같은 부정사용 적발 지원 중단, 선정 취소, 환수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및 정부사업 참여자는 청년 구직활동수당 참여로 인해 수급대상에서 제외되거나, 서비스 제한, 급여액 삭감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청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사업에 참여할 경우 정부 및 타 지자체 동일·유사사업에 대한 참여가 제한 될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 바랍니다.

본 공고사항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되는 사항은 재공고 또는 개별 통보합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전라남도중소기업진흥원 청년구직활동수당 전담팀(061288-3881~5)으로 문의 바랍니다.

서식 1

구직활동계획서

성명

 

생년월일

 

주소

 

연락처

 

구직활동

개요

 

구직활동

계획

 

목표1

 

세부계획1

 

세부계획2

 

세부계획3

 

목표2

 

세부계획1

 

세부계획2

 

세부계획3

 

목표3

 

세부계획1

 

세부계획2

 

세부계획3

 

목표4

 

세부계획1

 

세부계획2

 

세부계획3

 

구직활동

수당

사용계획

 

본 구직활동계획서는 정성평가 평가항목이기에 신중하게 작성 바랍니다.

서식 2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및 고유식별정보 처리에 관한 동의서

 

1. 개인정보의 수집·이용에 관한 사항

전라남도 청년 구직활동수당 지원사업 신청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귀하의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기 위하여개인정보보호법15조에 따라 관련 사항을 알려드리오니 동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 본 사업 참여자와의 상담, 대상자 선정 및 심사, 수당지급 등을 위해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필요시 전라남도, 전남중소기업진흥원, 정부부처, 사업진행과 관련된 금융기관 또는 협력기관에 개인정보가 공유될 수 있습니다.

󰋪 수집·이용할 개인정보 항목 : 성명,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주소, 성별, 직업 등 이력사항, 연락전화번호, 가족사항, 경력, 건강보험증 번호, 국민건강보험료 납부액, 건강보험 자격, 재산상황 등

󰋪 개인정보의 보유, 이용기간 : 개인정보는 수집·이용에 관한 동의일로부터 전남 청년 구직활동수당 지원사업 관련 업무 종료일까지 사업목적을 위하여 보유·이용됩니다.

 

 

2. 개인정보의 제공에 관한 사항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 : 전라남도, 전남중소기업진흥원, 정부부처, 건강보험공단, 광주은행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의 이용·제공 목적 : 건강보험 가입 여부, 건강보험료, 가족 피부양자 여부, 재산, 주민등록 등 관련자료 확인을 통한전라남도 청년 구직활동수당 지원사업및 정부 재정지원일자리사업 참여자 선정 및 관리 등

󰋪 제공할 개인정보 항목 : 국민건강보험(가입여부, 건강보험증 번호, 건강보험료, 수급자 인원, 지역 및 직장가입 구분) 현황, 주민등록 및 가족관계 등

󰋪 제공받는 자의 개인정보의 보유, 이용기간 : 개인정보는 수집·이용에 관한 동의일로부터 전남 청년 구직활동수당 지원사업 관련 업무 종료일까지 사업목적을 위하여 보유·이용됩니다.

 

 

3. 고유식별정보의 처리에 관한 사항

전라남도 청년 구직활동수당 지원사업신청·선정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귀하와 귀하 가족의 고유식별정보(주민등록번호)를 처리하기 위하여고용정책기본법시행령43조의2 및 개인정보보호법24조에 따라 관련사항을 알려드리오니 동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의사항 : 귀하는 상기 13번 사항에 대하여 각각 동의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에 대한 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참여자 선정이 부득이하게 제한 될 수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가구소득인정액 산출시 구성원 모두 기재, 자필로 서명하셔야 합니다.

 

붙임 1가구소득 세부 산정 방식

2020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에 의한 기준중위소득 150% 판정기준

가구원수

기준중위소득

기준중위소득

150%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가입자

1

1,757,194

2,636,000

88,344

63,778

-

2

2,991,980

4,488,000

150,025

147,928

151,927

3

3,870,577

5,806,000

195,200

203,127

198,402

4

4,749,174

7,124,000

237,652

254,909

242,715

5

5,627,771

8,442,000

286,647

308,952

298,124

6

6,506,368

9,760,000

326,561

349,099

343,406

7

7,389,715

11,085,000

402,261

426,790

437,059

8

8,273,062

12,410,000

437,059

462,265

471,545

9

9,156,409

13,735,000

471,545

495,914

519,517

10

10,039,756

15,060,000

519,517

544,044

602,065

가구소득 산정방법

미혼일 경우

- (원칙) 가구원 수 및 소득 확인 범위 모두 기본 3(··본인)”

* 형제·자매가 있을 경우, 포함 여부 선택(포함 시 가구원수+소득에 모두 추가)

* 형제·자매의 소득이 많을 경우 포함하는 것이 불리할 수도 있음

- (확인) 가구원 수는 가족관계증명서류, 소득은 공고일 전월분 건강보험 납입액(부과액)과 자격을 통해 확인

 

- 사례별 예시

* 확인 서류: 가족관계증명서류, 가구원 건강보험 납부액 또는 자격

한부모 가정인 경우(사별·이혼 등 불문)

가구원 수 2, 동거중인 부 또는 모 + 본인 건강보험료 확인

* 확인 서류: 가족관계증명서류, 가구원 건강보험 납부액 또는 자격

·모가 모두 없는 경우

가구원 수 1, 본인 건강보험료 확인

* 확인 서류: 가족관계증명서류, 본인 건강보험 납부액 또는 자격

++본인이 형제·자매 등의 피부양자인 경우

가구원 수 1, 별도 소득이 없는 것으로 간주

* 확인 서류: 가족관계증명서류, 건강보험 자격(++본인)

~ 의 경우에서, 형제·자매 추가를 원할 경우

1) 가구원 수에 형제·자매의 수를 더하고,

2) 소득에 형제·자매의 건강보험료를 더함

* , 형제·자매가 부··본인 이외의 자의 피부양자일 경우 가구원 수만 합산

기혼일 경우

- 본인 또는 배우자의 부모와 동거 중인지, 아니면 별도의 가구로 독립해 배우자 및 자녀와 동거 중인지에 따라 달리 산정

 

- (동거중인 경우) 가구원 수 4(··본인·배우자)+자녀수로 하고, 소득은 본인 또는 배우자의 부·+본인+배우자 확인

 

- (독립한 경우) 가구원 수는 2(본인·배우자)+자녀수로 하고, 소득은 본인+배우자확인

 

- (확인) 가구원 수는 주민등록 등본 및 가족관계증명서, 소득은 공고일 전월분 건강보험료 납입액(부과액)을 통해 확인

 

- 사례별 예시

본인 또는 배우자의 부모와 동거 중인 경우

가구원 수는 4(++본인+배우자) + 자녀수 합산, ++본인+배우자+자녀의 건강보험료 확인

* 확인 서류: 가족관계증명서(본인 기준+배우자 부모 기준), 건강보험 납부액 또는 자격, 주민등록등본(본인 또는 배우자 부모와 동거여부 확인)

위의 경우에서, 형제·자매 추가를 원할 경우

1) 가구원 수에 형제·자매의 수를 더하고,

2) 소득에 형제·자매의 건강보험료를 더함

* , 형제·자매가 부··본인 이외의 자의 피부양자일 경우 가구원 수만 합산

독립한 경우

가구원 수 2(본인+배우자)+자녀수, 본인+배우자+자녀의 건강보험료 확인

* 확인 서류: 가족관계증명서, 건강보험 납부액 또는 자격

가족관계증명 관련 사례별 구비서류

결혼여부

제출서류

미혼

생존

생존

가족관계증명서(부 또는 모)

생존

이혼 후

관계단절

가족관계증명서() + 주민등록등본

생존

사망

가족관계증명서() + (제적등본)

생존

실종 등

가족관계증명서() + 실종 등 서류

생존

외국인

가족관계증명서() + 외국인 증빙서류

이혼 후

관계단절

생존

가족관계증명서() + 주민등록등본

이혼 후

관계단절

사망

가족관계증명서(+) + 주민등록등본 + (제적등본)

이혼 후

관계단절

이혼 후

관계단절

가족관계증명서(+) + 주민등록등본

이혼 후

관계단절

실종 등

가족관계증명서(+) + 실종 등 서류 + 주민등록등본

이혼 후

관계단절

외국인

가족관계증명서(+본인) + 주민등록등본 + 외국인 증빙서류

사망

생존

가족관계증명서()

사망

이혼 후

관계단절

가족관계증명서(+) + 주민등록등본 + (제적등본)

사망

사망

가족관계증명서(본인) + (제적등본)

사망

실종 등

가족관계증명서() + 실종 등 서류 + (제적등본)

사망

외국인

가족관계증명서() + 외국인 증빙서류 + (제적등본)

외국인

생존

가족관계증명서() + 외국인 증빙서류

외국인

이혼 후

관계단절

가족관계증명서(+본인) + 외국인 증빙서류

외국인

사망

가족관계증명서() + 외국인 증빙서류 + (제적등본)

외국인

실종 등

가족관계증명서() + 실종 등 서류 + 외국인 증빙서류

외국인

외국인

가족관계증명서(본인) + 외국인 증빙서류

실종 등

생존

가족관계증명서() + 실종 등 서류

실종 등

이혼 후

관계단절

가족관계증명서(+) + 실종 등 서류 + 주민등록등본

실종 등

사망

가족관계증명서() + 실종 등 서류 + (제적등본)

실종 등

실종 등

가족관계증명서(본인) + 실종 등 서류

실종 등

외국인

가족관계증명서() + 실종 등 서류 + 외국인 증빙서류

기혼

배우자 생존

가족관계증명서(본인)

이혼

가족관계증명서(본인) + 혼인관계증명서(본인) + 주민등록등본

배우자 사망

가족관계증명서(본인) + 혼인관계증명서(본인) + (제적등본)

배우자 실종 등

가족관계증명서(본인) + 실종 등 서류

배우자가 외국인

가족관계증명서(본인) + 외국인 증빙서류

붙임 2중복사업

중복사업 종류 및 타 제도와의 관계

(동시 참여) 타제도와 동시에 수급 또는 참여하는 것을 말함

(조건부 참여) 지원 종료·중단후 또는 조건부 참여하는 것을 말함

 

사업명

동시 참여

조건부 참여

비고

가능

제한

가능

제한

생계급여

 

 

지원 종료·중단 후

실업급여

 

 

지원 종료·중단 후

·창업성공패키지

 

 

지원 종료·중단 후

1개월 경과시

실업자 대상

고용노동부 훈련*

 

 

참여기간 내 장려금 동시수급 불가

중앙부처 및 자치단체

유사사업**

 

 

지원 종료·중단 후

2개월 경과시

기타 직업훈련***

 

 

참여기간 내 장려금 동시수급 불가

재정지원 직접일자리 사업

(주 근로시간 36시간이상)

 

 

지원 종료·중단 후

재정지원 직접일자리 사업

(주 근로시간 36시간미만)

 

 

 

주 근로시간 확인

전남형 코로나19

긴급생활비 지원(도비)****

 

 

개인별 지급액으로 환산하여 차감 지급

청년농업인 육성정책

 

 

지원 종료·중단 후

청년 어업인 영어 정착자금

 

 

지원 종료·중단 후

희망사다리 장학금

 

 

지원 종료·중단 후

고졸 취업연계 장학금

 

 

지원 종료·중단 후

제대군인 전직지원금

 

 

지원 종료·중단 후

* 실업자 내일배움카드,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 (고용노동부) 청년 구직활동지원금, (서울) 청년수당, (대전) 청년취업 희망카드, (부산) 청년구직활동비, (강원) 구직활동수당, (광주) 청년드림수당, (제주) 청년자기 개발금지원, (경남) 청년구직활동 수당, (대구) 대구형 청년수당, (울산)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인천) 드림체크카드, (전남 해남) 두드림 청년 취업 지원, (전남 영광) 청년취업활동수당, (전북 전주) 청년쉼표 프로젝트, (전북 익산) 청년취업드림카드, (전북 군산) 청년자립수당지원, (광주 광산) 일하고싶은청년지원사업, (경기) 청년기본소득, (경기 성남) 청년배당

*** 직업훈련 참여 관련 유형별 대응 방법

훈련 장려금을 지급하는 직업훈련의 경우

직업훈련에 참여 중인 구직자가 지원금을 신청했을 경우

선정 기준에 부합할 경우 선정

지원금 수급 중인 구직자가 훈련 참여를 희망할 경우

지원금과 훈련 장려금을 동시에 수급할 수 없음을 안내

1) 참여자가 훈련 장려금 수급을 희망할 경우: 지원 중단 처리

2) 참여자가 청년 구직활동수당 수급을 희망할 경우: 훈련내용 및 참여자 인적사항을 관련 기관에 통보

지원금 수급 중인 구직자가 사전 협의 없이 훈련 참여 후 장려금을 수급한 경우

부정수급 처리

2. 훈련 장려금을 지급하지 않는 직업훈련의 경우: 별도 제한 없이 참여 가능

장려금이 지급되는 훈련이라 하더라도 정부 및 지자체의 재원이 들어가지 않고 순수 민간 재원으로 지급되는 훈련 장려금인 경우 동시수급 가능

**** 가구원수에 따라 가구별로 지급되는 긴급 생계비를 개인별 지급액으로 환산하여 구직활동수당 지원금에서 차감후 지급

구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이상 가구

차감액

300천원

150천원

130천원

100천원

100천원

긴급생계비

300천원

300천원

400천원

400천원

500천원

유사사업

청년 농업인 육성정책(농림축산식품부)

: 80~100만원, 최대 3년 간 정착자금 지원

청년 어업인 영어 정착 자금 지원(해양수산부)

: 80~100만원, 최대 3년 간 정착자금 지원

희망사다리 장학금(교육부)

: 중소기업 취업을 전제로 등록금+매학기 취업지원금 200만원 지원

고졸 취업연계 장학금(교육부)

: 중소기업 취업을 전제로 장려금 300만원 지원

제대군인 전직지원금(국가보훈처)

: 25만원, 최대 6개월 간 지급, 창업시 잔여 지원금의 절반 수령

붙임 3구비서류 발급 방법

구비서류 발급 방법

구비서류

발급방법

주민등록 등·초본

·정부민원포털 정부24(www.gov.kr)

·주민센터(무인발급기)

가족관계

증명서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efamily.scourt.go.kr)

·주민센터(무인발급기)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및 납부확인서

·정부민원포털 정부24(www.gov.kr)

·온라인 발급 : 건강보험 홈페이지(www.nhis.or.kr) 회원가입 방문자별 맞춤메뉴(개인) 조회 및 발급 자격확인서 또는 보험료납부확인서 발급

·스마트폰 앱 이용 :“M건강보험앱설치 공인인증서 로그인 후 민원서비스 이용

·고객센터 이용 팩스발급 : 1577-1000

·주민센터(무인발급기)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용)이력 내역서

·정부민원포털 정부24(www.gov.kr)

·고용보험 홈페이지(www.ei.go.kr)

·근로복지공단 고객센터 이용 팩스발급 : 1588-0075

고용보험 가입이력이 없는 경우 : 이력서 출력 누른 후 해당 내용이 없다는 이력내역서 첨부(반드시 인적사항과 발급일자가 표시되어야 함)-

졸업·수료·제적

증명서

·주민센터

·정부민원포털 정부24(www.gov.kr)

·해당학교 민원실 등

사실증명

(사업자등록 사실여부)

·정부민원포털 정부24(www.gov.kr)

·홈택스(www.hometax.go.kr)

·세무서

구비서류 온라인 발급 관련 홈페이지 공지사항 참조(전남일자리통합정보망 일자리지원 청년 구직활동지원 게시판 공지사항 참조)

무인발급기 이용 제출서류 발급 시 지문인식 절차가 필요하므로 당사자(본인···배우자 등)의 방문이 필요합니다.

긴급생활비 질의응답

긴급생활비 지원대상은 어떤 사람입니까?

답변) 첫 번째 충족요건은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이며 3. 30. 정부긴급생계지원금발표 전일(3. 29.)기준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전라남도 내에 있어야만 지원대상이 됩니다.

 

지원대상자 여부를 어떻게 확인하나요?

답변) 1차적으로 신청자가 자가진단으로 가구원 수와 건강보험료 납입액을 확인하여 지원대상에 해당 되는지 살펴보고, 신청 시 읍면동 주민센에상담을 받으시면 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100%이하 가구가 어떻게 결정되나요?

답변) ‘기준중위소득이란 국민기초생활보장법20조제2항에 기초생활수급자 선정 등에 활용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장관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가구 소득의 중위 값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2020년 기준중위소득 100% 기준표>

구 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인가구

금액(/)

1,757,194

2,991,980

3,870,577

4,749,174

5,627,771

6,506,368

7,389,715

<8인 이상 가구 경우 1인 증가시마다 883,347원씩 증가(8인가구: 8,273,062)>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의 선정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가구원수와 건강보험료 납입액에 따라 긴급생활비를 차등 지급합니다.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선정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지역가입자와 마찬가지로 건강보험료를 먼저 확인하여 충족할 경우 행복e음으로 자동차를 포함한 일반재산을 조회하여 중소도시 188,800천 원 이하인 경우에 지원합니다.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가 혼합된 경우의 선정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건강보험료 충족 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모든 가구원의 재산조회 하여 합산한 금액이 중소도시는 188,800천원 이하인 경우 지원됩니다.

 

직장가입자 1명과 지역가입자 3명으로 구성된 가구의 선정방법은?

답변) 4가구 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이 혼합’ 162,883원 이하이여야 하며 행복e음을 통해 4인 모두의 재산을 조회하여 합산한 금액이 중소시는 188,800천 원 이하인 경우 지원합니다. 즉 건강보험료와 재산기준 모두 충족하여야 합니다.

 

직장가입자의 재산은 어떤 항목을 조회하나요?

답변) 자동차를 포함한 일반재산을 조회하며 금융재산은 제외됩니다. 따라서 중소도시*188,800천 원 이하, 농어촌** 161,600천 원 이하인 경우 지원 가능합니다.

* 여수는 중소도시에 해당합니다.

 

건강보험료 및 재산소득의 적용 시점은 언제인가요?

답변) 건강보험료는 20203월 기준으로 하나 신청 가구가 변동된 4월 보험료가 유리하다고 적용을 요청할 경우 4월 보험료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장가입자와 피부양자가 시도를 달리하여 주소가 있는 경우 지원되나요?

답변) 전남 도내에 있는 가구원에 대해서만 건강보험료와 재산조회를 하여 판정기준 이하 일 경우 지원합니다.

예시) 직장가입자 4명 중 주소가 광주에 2, 전남에 2명인 경우 전남도내에 주소가 있는 2명만 2인 가구로 지원합니다.

 

 

맞벌이 부부 중 1명이 휴직인 경우 신청 가능한가요?

답변) 근로 여부와 상관없이 신청 가능합니다.

 

주민등록상 세대를 같이 한 동거인의 경우 별도가구로 신청할 수 있나요?

답변) 민법상 가족이 아닌 주민등록표 등재 동거인은 별도가구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상 세대를 같이한 형제자매는 별도가구로 신청할 수 있나요?

답변) 민법상 형제자매는 경제를 같이하는 한 가구로 별도신청 불가합니다.

 

전남도 내 부모와 미성년자가 시군을 달리하여 주소지가 있는 경우별도 가구로 신청이 가능한가요?

답변) 미성년자는 주소가 달라도 부모와 한 가구로 봅니다.

다만 만14세 미만 미성년자가 소년소녀 가정인 경우 법정대리인의 신청이 가능함

 

같은 주소지에 세대가 분리된 경우 각각 지원 가능한가요?

답변) 세대가 분리된 경우 각각의 가구로 인정하여 지원 가능합니. 다만 민법상 가족인 형제자매는 한 가구로 인정하여 각각 신청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3. 29.이후 세대가 분리된 경우는 지원할 수 없습니다.

 

전남 도내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도 지원할 수 있나요?

답변) 출입국관리법31조에 따라 외국인으로 등록한 사람으로 본인 또는 대한민국 국적 배우자가 임신중인 자, 대한민국 국적의 미성년 자녀 양육자, 배우자의 대한민국 국적 직계존비속과 생계, 주거를 같이하는 자는 해당니다. 다만 취업 및 학업을 목적으로 단기간 거주한 외국인은 제외합니다.

라남도내 시군간 전·출입으로 주민등록지가 변경된 경우 지원 여부

답변) 3. 29.기준 주민등록상 전라남도내에 주소가 있는 경우는 현재 주민등록 주소지가 있는 시군에서 신청·지원 가능합니다.

긴급생활비 중복지원 제외대상자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답변) (행복e) 저소득층 한시생활지원자, 긴급복지지원자, 코로나19 입원·격리 생활지원을 받은 자

(관련부서) 실업급여, 구직활동수당 수급자, 코로나19 관련 피해업장 무급휴직 근로자, 특수고용직 등 지원 대상자

 

국민기초수급자는 긴급생활비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답변) 국민기초수급자의 경우 코로나19 정부의 민생안정지원 정책인 소득층 한시생활지원사업의 지원을 받기 때문에 전남형 긴급생활비는 중복으로 지원 할 수 없습니다.

 

아기돌봄쿠폰지원 대상가구도 긴급생활비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답변) 중복 지원이 가능합니다.

 

신청하고 타 시도로 이사할 경우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답변) 정부 긴급민생지원 대책 발표일(3.30.) 기준 전날인 3. 29.까지 전남도내에 전입이 되어 있어야 하고, 신청 후 최종 대상자로 선정될때까지 전남도내 주소가 있어야만 됩니다. 따라서 신청 후 타 시도로 전출을 할 경우는 지원을 받을 수 없습니다.

 

실업급여를 받은 가구원이 있으면 긴급생활비를 받을 수 있나요?

답변) 가구원 중 1명이라도 실업급여를 받은경우 지원을 받을 수 없습니. 긴급생활비는 4인 가구 최대 50만 원이지만 실업급여는 본인 급여의 60%6개월 동안 지원받기 때문입니다.

 

긴급생활비 지원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가요?

답변) 신청자 신분증, 긴급생활비 지원신청서,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동의서 등이 필요합니다. 다만, 대리신청시 위임장과 위임자의 신분증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합니다.

지원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시군 홈페이지(인터넷), 주민등록지의 읍면동 주민센터, 우편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가구당 1명만 신청해야 하나요?

답변) 가구 단위로 대표 1명만 신청 가능하며, 세대주 및 세대원 중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전체 세대원의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제공동의서 서명을 받아서 제출하여야 합니다.

 

배우자나 자녀의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타 시도인 경우 지원가능 하나?

답변) 주민등록상 전남도내 주민등록 주소를 둔 경우만 신청가능하므로, 따라서 전남 외 지역에 거주하는 자는 신청이 불가합니다.

 

배우자나 자녀가 전라남도 내 시군을 달리하여 주민등록이 있는 경우 각각 신청 가능 한가요?

답변)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는 부양자와 하나의 가구로 인정되며, 직장가입자의 주민등록지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부부가 각각의 건강보험료를 납부할 경우 별도 가구로 신청

미성년자 자녀의 경우는 부모와 하나의 가구로 인정하여 신청

소득이 있는 자녀의 경우는 별도 가구로 신청

 

직장가입자의 부양자와 피부양자인 부모가 주소를 달리한 경우 별도가구로 신청 가능 한가요?

답변) 별도 가구로 신청 가능하고, 피부양자인 부모의 재산을 조회하여 지원대상을 결정합니다.

 

주민등록은 여수에 있고, 실제 거주지는 순천인 경우 어디에 신청합니까?

답변) 주민등록지가 있는 여수시에 신청하여야 합니다. 강보험료와 재산조회를 통해 최종 지원대상자를 선정하게 됩니다.

 

 

지역사랑상품권 수령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신분증을 지참하여 신청한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직접 수령이 가능합니다.(수령시 별도 안내)

지역사랑상품권 어디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

답변) 지역 내 음식점, 슈퍼마켓, 전통시장 등 가맹점에서 사용가능합니다.

* 대형마트, 백화점 등은 사용불가

 

지역사랑상품권 언제까지 사용할 수 있나요?

답변) 발행일로부터 5년간 유효기간이나, 수령 후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가능한 6월까지는 사용을 권고합니다.

 

지역사랑상품권 분실 시 재발급이 가능한가요?

답변) 유가증권이므로 재발급이 불가합니다.

 

부채증명서를 이의신청 증빙서류로 제출시 인정 가능한가요?

답변) 원칙은 건강보험료와 금융재산을 제외한 재산을 확인하여 지원대상자를 선정하므로 부채는 인정하지 않습니다.

 

건강보험료에 장기요양보험료가 포함되나요?

답변) 건강보험료만 적용합니다.

 

 

전남형 긴급생활비 지원 제외대상 중 코로나19 피해사업장 무급휴직근로자 및 특수고용직 등 정부 지원을 받은 대상자가 긴급생활비를 신청할 수 있나요.?

답변) 신청자가 정부지원과 전남형 긴급생활비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신청 시 안내하여 중복으로 지급하지 않도록 하면 됩니다.

 

 

시설에 입소한 아동의 주소가 시설에 있는 경우 가구원 산정을 어떻게 하나요?

답변) 아동이 수급자가 아니면서 부모가 도내에 있는 경우 부모와 동일세대로 산정합니다.

아동이 수급자인 경우 한시적생활비를 지원받기 때문에 제외됩니다.

https://www.jeonnam.go.kr/home/site/jeonnam/imgs/sub/20200403/coronaSupportNotiPage2.html

불러오는 중입니다...

 

신청자격

2020년 3월 22일 기준 전남에 사업장을 등록하고 신청일 현재 유지하고 있는 소상공인

※ (제외대상) 연매출 3억 원 초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전남도의 정책자금 제외 업종(도박, 게임장 등 사행업, 유흥주점, 태양광발전 등), 전남도의 별도 지원 업종(개인택시, 택시종사자 50만원 지원) 등

신청기간

4.7.(화) ~ 5.29.(금) 18:00

신청방법

사업장 대표자가 신분증을 지참 사업장 소재지 시·군 읍면동 주민센터

작성(제출)서류

지원신청서, 개인정보제공동의서, 사업자등록증 사본(필수), 사업장 규모에 따라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 건강보험 사업장 가입자별 부과내역서 등이 필요

※ 신분증 지참(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지원내용

30만원 1회 지급

지급방법

지역사랑상품권 또는 선불카드

https://www.jeonnam.go.kr/home/site/jeonnam/imgs/sub/20200403/coronaSupportNotiPage.html

 

코로나19 긴급생활비

전남형 「코로나19 긴급생활비」 관련 Q&A 전남형 「코로나19 긴급생활비」 지원 대상자 선정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로 3. 29. 기준 주민등록상 전라남도 내에 주소가 있는 가구로 건강보험료 납부액이 가구별 소득기준 이하이고, 지원대상자로 선정 시 까지 도내 주소가 있어야만 지원이 가능 1. 지역가입자의 경우 건강보험료만으로 선정 2. 직장가입자의 경우 건강보험료와 일반재산 기준적용 3.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가 혼합된 경우    *

www.jeonnam.go.kr

 

신청자격

2020년 3월 29일 기준 전남 도내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세대주 및 세대원

※ 신청 이후 선정 시 까지 타 시도 전출 시 지원 제외

신청기간

4.7.(화) ~ 5.29.(금) 18:00

신청방법

해당 시·군청 홈페이지 또는 우편, 읍면동 주민센터 등

제출서류

지원신청서, 개인정보제공동의서

※ 신분증 지참(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선정기준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로 건강보험료를 적용

  • 가구원 전체가 지역가입자인 경우 건강보험료로 선정
  • 가구원 중 직장가입자(1명 이상)와 지역가입자가 혼합된 경우 건강보험료와 재산을 조회하여 선정

지원내용

가구별 30~50만 원 1회 지원

  • (1~2인 가구) 30만 원, (3~4인가구) 40만 원, (5인 이상가구) 50만 원

지급방법

지역사랑상품권 또는 선불카드

지원 제외대상(정부 및 도 지원 혜택 가구)

저소득층 한시생활지원 대상자(국민기초수급자, 법정차상위계층)

코로나19 생활지원비 및 유급휴가비용

코로나19 피해사업장 무급휴직근로자

긴급복지 주급여 지원자(2020년 지원기준)

특수고용직(학습지방문강사,대리운전원,보험설계사 등) 지원자

실업급여 및 구직활동수당지원자(2020년 지원기준)

건강보험 유형별 선정기준

(단위 : 원)

건강보험 유형별 선정기준가구원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선정 기준액지역직장혼합*

1인

21,342

59,118

-

2인

85,837

100,050

100,076

3인

121,735

129,924

131,392

4인

160,865

160,546

162,883

5인

195,462

189,063

192,080

6인

233,499

220,167

224,298

7인

267,395

248,116

253,956

8인

298,842

276,843

286,647

9인

333,411

311,116

326,561

10인

368,522

343,406

368,580

* (혼합) 2인 이상 가구에서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 출처 : 보건복지부 제공

직장·혼합 건강보험 가입 가구의 경우 재산기준 추가 적용

금융재산을 제외한 긴급복지지원 재산 기준을 상향 적용한 중소도시 188,800천 원 이하, 농어촌 161,600천 원 이하

 

목포시

http://www.mokpo.go.kr/COVID_intro.html

 

지역여건

 

www.mokpo.go.kr

 

여수시

http://www.yeosu.go.kr/

불러오는 중입니다...

 

순천시

https://www.suncheon.go.kr/em/intro.jsp

 

순천시청

 

www.suncheon.go.kr

 

나주시

http://www.naju.go.kr/COVID_intro.html

불러오는 중입니다...

광양시

http://www.gwangyang.go.kr/index.gwangyang

불러오는 중입니다...

 

담양군

http://www.damyang.go.kr/index.damyang

불러오는 중입니다...

 

곡성군

http://www.gokseong.go.kr/COVID_intro.html

 

곡성군청

 

www.gokseong.go.kr

 

구례군

https://www.gurye.go.kr/kr/

 

| 구례군청

 

www.gurye.go.kr

 

고흥군

https://www.goheung.go.kr/

 

고흥군청

 

www.goheung.go.kr

 

보성군

 

http://www.boseong.go.kr/COVID_intro2.html

 

지역여건

 

www.boseong.go.kr

 

화순군

http://www.hwasun.go.kr/

 

화순군청 홈페이지

화순군 긴급 재난 생계지원금 신청 하단 버튼을 누르시면 신청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바로가기

www.hwasun.go.kr

 

장흥군

http://www.jangheung.go.kr/COVID_intro.html

 

지역여건

 

www.jangheung.go.kr

 

강진군

http://www.gangjin.go.kr/COVID_intro.html

 

지역여건

 

www.gangjin.go.kr

 

해남군

http://www.haenam.go.kr/intro/intro_20200406.html

 

해남군청

 

www.haenam.go.kr

 

영암군

http://www.yeongam.go.kr/

 

영암군

신청기간20. 4. 07.(화) ~ 5. 29.(금) 온라인 접수20. 4. 13.(월) ~ 5. 15.(금)

www.yeongam.go.kr

 

무안군

http://www.muan.go.kr/COVID_intro.html

 

지역여건

 

www.muan.go.kr

 

함평군

https://www.hampyeong.go.kr/

 

함평군청

함평군 전남형 「코로나19 긴급생활비」신청신청하기 함평군대표 홈페이지 바로가기 57149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중앙길 200 / 전화 : 061-320-3114 / FAX : 061-320-3161 COPYRIGHT(c) HAMPYEONG COUNTY. ALL RIGHTS RESERVED

www.hampyeong.go.kr

 

영광군

http://www.yeonggwang.go.kr/

 

영광군청

 

www.yeonggwang.go.kr

 

장성군

http://www.jangseong.go.kr/

 

장성군청

신청기간20. 4. 07.(화) ~ 5. 29.(금) ※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에 따라 마을별 신청일자를 별도 안내할 예정입니다.

www.jangseong.go.kr

완도군

http://static.wando.go.kr/COVID_intro.html

불러오는 중입니다...

 

진도군

http://www.jindo.go.kr/home/main.cs

 

진도군청

 

www.jindo.go.kr

 

신안군

http://www.shinan.go.kr/

 

신안군청 홈페이지

신청기간20. 4. 07.(화) ~ 5. 29.(금) 온라인 접수20. 4. 13.(월) 10시부터 가능

www.shinan.go.kr

 

 

 

여수시 전남형 코로나19 긴급 생활비 지원 신청하기

 

http://www.yeosu.go.kr/COVID19_APPLY/boardList.do?menuId=yeosu0715010000

 

 

*상단 주소로 들어가서 인터넷 접수 혹은 주소지의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혹은 우편 등기 접수

*신청은 공적마스크 구매하는 것처럼 정해진 날짜에!!

 단 토/일은 인터넷 접수만 가능

*신청자는 세대주 또는 세대원 -20년 3월29일 기준 주민등록상 여수시 거주자!!!!!!!!!!!!!!!!!!!!!!!!!!!!!!!!!!!!!!!!!!!!!!!!!!!!!!

 가령 서울에 주소를 둔 자녀가 부모님 대신 신청할 경우 위임장을 다운받아서 위임장도 추가 작성해야함.

*선정 기준은 건강보험료 기준 중위소득 100프로 이하 및 재신기준 이하인 가구..

가구산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요건 : 3. 29.기준 주민등록상 전남 도내 주소를 둔 자
 ❍ 부양자(직장가입자)와 피부양자(배우자, 자녀, 부모) 가구산정 방법
   ① 부양자와 배우자, 자녀, 부모의 주소가 동일한 경우
    ⇒ 단일가구(건강보험료+가구원 모두의 재산조회)
   ② 부양자와 부모의 주소가 동일한 경우
    ⇒ 단일가구(건강보험료+가구원 모두의 재산조회)
   ③ 부양자와 배우자, 자녀의 주소가 다른 경우
    ⇒ 부양자의 세대로 합산하여 동일가구로 산정(건강보험료+가구원 모두의 재산조회)
   ④ 부양자와 부모의 주소가 다른 경우
    ⇒ 별도가구(부양자는 건강보험료+재산조회, 부모는 재산조회)
 ❍ 배우자나 자녀가 전라남도 내 시군을 달리하여 주민등록이 있는 경우
   ①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는 부양자와 하나의 가구로 인정되며, 직장가입자의 주민등록지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② 부부가 각각의 건강보험료를 납부할 경우 별도 가구로 신청
   ③ 미성년자 자녀의 경우는 부모와 하나의 가구로 인정하여 신청
   ④ 소득이 있는 자녀의 경우는 별도 가구로 신청

건강보험료는 

https://www.nhis.or.kr/index.jsp

 

국민건강보험

 

www.nhis.or.kr

 

 

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료 조회를 통해 가능

 

*제출 서류: 신청서,개인정보동의서

*주의!!!!!!!!

-간강보험자격확인서 및 납부 확인서는 행정정보공동이용시스템을 통해 시자체에서 출력!!!!!!!!!!!!!!

전남형 코로나19 긴급생활비 이지만 타지역들은 직접 신청서와 같이 납부해야하지만 

여수시는 개인정보동의서를 제출하여... 지자체에서 대신 확인!!

 

*지원금액은 1-2인 30만원/ 3-4인 40만원 / 5인이상-50만원

지급은 이렇게 합니다.
 ❍ 지급방법 : 지역사랑상품권
 ❍ 기  간 : 2020. 4월말 ~ 순차적 지급
 ❍ 지급방법 :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수령
 ❍ 지원금액 : 가구당 30만원 ~ 50만원
  - (1∼2인 가구) 30만원, (3∼4인 가구) 40만원, (5인 이상 가구) 50만원
 ❍ 수 령 인 : 세대주 본인 또는 세대원
 ❍ 사용기간 : 6개월 이내(권장) * 유효기간 : 5년
 ❍ 사용방법 : 여수시 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
 ❍ 배 부 처 :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신청방법 

1신청서 및 개인정보 동의서 내려받기!!!!

-주소를 달리하는 가족이 대신 신청할 경우 위임장 다운로드

2출력하기

3내용작성-신청서및 동의서등에 날인 또는 자필서명하지 않을 경우 서류가 접수되지 않음..!!

4작성된 신청서 및 동의서 등 파일만들기 스캔 또는 사진을 찍어서 PC저장 혹은 직접 주민센터에 방문

***인터넷 신청자는 

 

http://www.yeosu.go.kr/COVID19_APPLY/boardList.do?menuId=yeosu0715010000&searchType=&searchText=&pageIndex=1

불러오는 중입니다...

접속후 하단으로 내려가 

1글쓰기 버튼 클릭

2로그인 또는 휴대폰 본인인증하기

3주소지 읍면동 선택

4휴대폰 입력

5제출서류 업로드

6저장버튼클릭

+ Recent posts